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약용버섯 이야기(124): 왕잎새버섯

default_news_ad1

왕잎새버섯은 항산화 작용, 항균 작용, 항종양, 항암작용이 있고 치매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버섯이다.

 
약용버섯 이야기(124): 왕잎새버섯

 
왕잎새버섯 Meripilus sumstinei(Murrill) Larsen & Lombard
 흔히 북미에서 출판한 버섯도감에 보면 왕잎새버섯의 학명을 Meripilus giganteus라고 적고 있으나 이 학명은 유럽종의 이름이고 북미에서 돋는 것은 Meripilus sumstinei라고 적어야 옳다. 왕잎새버섯은 그 돋는 모양새가 활엽수(특히 참나무나 너도밤나무) 그루터기 주변에 삥 둘러 크게 돋아 잎새버섯과 혼동하기 아주 쉽다. 그러나 왕잎새버섯은 잎새버섯보다 그 크기가 더 크고 그 돋는 시기도 잎새버섯은 보통 9월이나 되어야 돋지만 왕잎새버섯은 7월에도 돋는 것이 다르다.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과 특징은 왕잎새버섯은 건드리거나 상처를 내면 흑색으로 변색하여 까만 얼룩이 생긴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 버섯의 영어이름 가운데 Black-staining Polypore 라는 이름이 있다. 또 그 크기가 커서 한국어 이름에 "왕" 자(字)가 들어간 것처럼 크다는 뜻을 가진 Giant Polypore라고도 부른다.
 
왕잎새버섯의 부채꼴 갓 표면에 검은 얼룩이 있다.
자실체는 50-80cm 크기나 그 이상으로 크기도 하며 밑동의 한 줄기에서 수십 개의 여러 갈래 부채꼴 자실체가 가지 치듯 많이 모여 돋는다. 갓은 그 너비가 5-20cm나 되고 부채꼴이다. 허연색이다가 차차 엷은 갈색으로 된다. 가장자리는 얇다. 건드리거나 상처내면 검은색으로 변하고 노균이 되면 건드리지 않아도 스스로 검게 된다. 자실층은 허연색이다가 칙칙한 갈색으로 되고 건드리면 암갈색에서 검은색으로 변색한다.
 
대(줄기)도 있으나 아주 짧고 역시 노균이 되면 검게 된다. 조직은 단단하고 질기며 흰색이다. 냄새와 맛은 순하거나 약간 신맛이 있고 포자색은 흰색이다. 발생은 산참나무나 다른 활엽수(가끔 미송[美松] douglas fir)에 돋는 기생균이자 죽은 활엽수 그루터기 주변에 여름(7월)에서 가을(9월)까지 돋는 부생균이기도 하다. 어리고 연한 것은 식용할 수도 있으나 맛이 별로 없고 곧 질겨서 먹지 못하고 혹간 위장장애가 생긴다는 보고도 있고, 박완희 선생에 따르면 다량 섭취하였을 때 방향감각 장애, 현기증도 일어난다고 한다.
 
왕잎새버섯은 죽은 활엽수 그루터기 주변에 삥 둘러 돋는다.
왕잎새버섯의 화학성분
 
박완희 선생에 따르면 지방산 10종, 미량 금속 원소 13종, 마니톨, 아라비톨, 글리세롤, 트레할로스, 글루코스, 셀루로스, 헤미셀루로스, 키틴, 항종양 성분인 펙틴 기간탄(pectin gigantan), 알파-글루칸, 베타-글루칸, 리그닌. 그 밖에도 페놀에틸라민, 티라민, 티라민-엔-메칠 등이 들어 있다고 한다. 그리고 약리작용으로 항종양 작용이 있어 쥐실험에서 Sarcoma 180 암 억제율 85.2%라고 한다.
 
왕잎새버섯은 잎새버섯과 아주 흡사하나 시기적으로 잎새버섯 보다 일찍 돋고 그 갓(잎)이 더 크고 질겨서 식용하기 어렵다.
왕잎새버섯의 의학적 사용
 
2009년 Karaman 등은 왕잎새버섯을 포함하여 여러 종류의 버섯이 가진 그람양성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검사하였다. 그 결과 여러 바실루스속(屬)의 그람양성 세균(細菌)에 대한 항균작용과 건조한 분진형 토양에서 발견되는 그람 양성균으로 가축 질병을 일으키는 세균인 rhodococcus equi 및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작용이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또 특히 Karaman 등은 왕잎새버섯에 대한 생물학적 작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왕잎새버섯의 항산화 작용과 에스트로겐 의존 유방암에 대한 항암작용과 용혈성 전위(hemolytic potential)에 대한 억제 작용이 있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아세틸콜린 가수 분해 효소인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acetylcholinesterase)에 대한 억제작용이 있어서 알츠하이머와 치매 같은 질병에 도움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참고문헌:

박완희, 이호득, 한국 약용버섯 도감, 서울: 교학사, 2003(재판), 514쪽.

Robert Rogers, The Fungal Pharmacy: The Complete Guide to Medicinal Mushrooms and Lichens of North America, Berkeley, Calif.: North Atlantic Press, 2011, p. 286 & p. 528.

Karaman, Maja et.al., 2009,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lignicolous fungus Meripilus giganteus(Pers.:Pers.) Karst. Archives of Biological Sciences 61(4): 853-861 을 참고하실 것.
 
 
 

기사입력시간 : 2017-11-05 03:23:36

최종수(야생버섯애호가) 기자,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자닮,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왕잎새버섯#잎새버섯
관련키워드기사 [키워드 기사 전체 목록]
default_news_ad3
default_setImage2
기사 댓글과 답글 0
전체보기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default_news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