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지속가능한 농업1. 자연과 인간의 공존, 그 접점에 농사가 있다

default_news_ad1
2018년 6월 15일 오후 화성시 남양읍 문호리의 가문 논(사진=경기도)https://bit.ly/2nuI56C
 ‘몇십 년 만의 폭염이다. 내일 밤도 열대야다.’라는 기상예보가 숨이 막히게 느껴지는 한여름을, 인간과 자연은 근근이 버텨내고 있다. 먼 미래의 어느 날이 될 것이라고 외면해왔던 이상기온은 이제 우리의 일상 속으로 훅 들어와 버렸다. 당혹스럽다. 자연과 인간의 공존에 대한 고민과 실천이 더 늦지 않았기를 기도할 뿐이다.
 과학의 발전으로 우주를 넘나들고 인간을 닮은 로봇을 찍어낸다는 현대인이 자연의 분노 앞에서는 몇백 년 전의 조상이나 별반 다를 것이 없다. 작물이 타들어가는 현상을 지켜보면서 그저 하늘만 바라볼 뿐이다.
 
한반도의 기온상황 https://bit.ly/2MgW3Hz
 농사란 단순히 먹을거리만 생산하는 노동이 아니다. 전통 농업은 우리 선조와 자연이 상호작용하고 적응하면서 여러 환경적 조건들을 형성해 왔으며, 농사를 중심으로 형성된 농업 활동은 자연과 사회 속에서 다양한 역할들을 해왔다. 그 중 자연환경 보전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홍수를 예방한다.
· 논과 밭의 연간 총 홍수 조절량: 논 27.7억 톤 + 밭 6억 톤 = 약 33.7억 톤
(춘천댐 22개 규모)
2. 지하수를 함양한다.
· 논과 밭의 연간 총 지하수 저장량: 논 54.5톤 + 밭 6.4톤 = 약 60.9억 톤
(연간 수돗물 사용량의 약 88%)
3. 토양 유실을 막아준다.
· 논의 연간 토양 유실 방지량: 약 1,705만 톤
· 이를 금전으로 환산하면?
1,705만 톤 × (객토 비용 7,940원/톤+사방댐비용 4,230원/톤) = 2,075억 원
4. 흐린 대기와 수질을 걸러준다.
· 벼의 연간 산소 공급량을 금전으로 환산하면?
산소 공급량 1천 28만 톤 × 공업용 산소 제조가 194.7천원/톤 = 2조 15억 원
· 벼의 연간 수질 정화량을 금전으로 환산하면?
수질 정화량 7.13억톤 정화 비용 3.073원/톤 = 2조1천9백억 원[1]
 
홍수, 지하수부족, 토양유실, 흐린대기, 수질… 이 모든 것들은 당장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우리모두 공감하고 있는 문제들이다.
 논밭은 그 자체가 긴 세월 속에서 다양한 생명체와 함께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 소금쟁이·메뚜기·거미·나비·잠자리 등의 수많은 곤충과 미생물이 공존해 왔고, 개구리·미꾸라지·뱀과 각종 새들이 조화로운 먹이 사슬을 이뤄왔으며, 추수 후의 벼 그루터기와 낟알로 겨울철의 초식동물과 철새들을 먹여온 것도 논과 밭이다.
 
세계 기온현상 https://bit.ly/2MgW3Hz
 자연환경은 인간이 의도적으로 조절할 수 없는 영역이면서도 홍수와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는 인간의 생명을 직접적으로 위협할 수 있으며, 환경파괴·지구온난화의 문제는 인류 존속 여부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자연과 인간 활동의 접점인 농사의 중요성은 음식물 섭취를 통한 인간의 생명활동뿐 아니라 자연환경 보존에도 의미 있는 활동으로, 충분히 강조될 가치가 있다. 경제성이나 수익성의 논리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공공재로서의 중요한 기능들이 있는 것이다. 이상기후로 지구 전체가 몸살을 앓고 있는 지금 농사에 대해 진지하고도 장기적인 계획과 지혜가 필요한 이유다.
 
 
[1]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2002
 

기사입력시간 : 2018-08-13 11:29:35

이경희 기자,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자닮,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3
default_setImage2
기사 댓글과 답글 0
전체보기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default_news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