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버섯에 관한 8가지 놀라운 사실: 야생버섯의 신비(190)

default_news_ad1

어떤 버섯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그 크기가 크고 오래되었다. 개미를 좀비로 만들 수도 있다!

버섯에 관한 8가지 놀라운 사실: 야생버섯의 신비(190)
 
어떤 버섯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크고 오래되었다. 개미를 좀비로 만들 수도 있다!
 
버섯 또는 균류는 지구상에서 가장 다양한 유기체 가운데 하나이며 우리가 알고 있는 삶의 여러 방면에 기여하고 있다. 이들은 지구상에서 가장 개체수가 많은 균계(fungi kingdom)이기도 하다. 전 세계적으로 약 380만 개의 균류가 존재하지만, 그중 90% 이상이 알려진 바 없고 현재 과학에 알려진 것은 10%에 불과하다. 그리고 균계도 매우 동물적일 수 있다는 사실에 놀랄 수도 있다. 그들은 우리처럼 숨을 쉬고 일부는 심지어 육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버섯은 어둠 속에서 빛을 발할 수 있다.
 
사진 1: 야광을 내는 애주름버섯속 Mycena lampadis.North Tamborine, Queensland, Australia에서 촬영.사진출처: flickr.com에서 가져온 aardvaarkau 님의 사진
희한한 일지지만 일부 버섯은 생물 발광(發光)을 한다. 이 발광 버섯들은 밤에 반딧불을 밝히고 일부 바다 생물을 빛나게 하는 것과 똑같은 화합물인 루시페린 덕분에 빛을 발하는 것이다. 도깨비불(foxfire)로 알려진 이 놀라운 현상은 곤충을 유인하려는 것이다. 몸에 버섯 포자가 묻은 곤충들은 숲의 다른 곳에 버섯 포자를 퍼뜨려 버섯이 번식할 수 있게 돕는다.

앞으로 생물 발광의 자연 현상은 가로등에 대한 녹색 대안으로 발광하는 나무가 되도록 나무를 유전적으로 조작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2. 버섯은 식물보다 동물에 더 가깝다.
 
사진 2: 미국 동부지역 광대버섯
균류는 식물계에도 동물계에도 속하지 않고 자신의 '균류계'에 속한다. 그러나 유전적으로 말하면 버섯은 식물보다 동물에 더 가깝다. 버섯은 우리처럼 산소를 '호흡하고' CO2를 내뿜으며 지구 온난화에 기여한다!

식물과 달리 번식을 위해 햇빛이 필요하지 않고 그 대신 동물과 마찬가지로 다른 유기체의 양분에 의존하여 살아간다. 또한 버섯의 세포벽에는 곤충의 외골격, 갑각류의 껍질, 문어의 부리에서 볼 수 있는 키틴(chitin)이 포함되어 있다.
 
3. 어떤 버섯은 개미를 좀비로 만든다.
 
사진 3: 개미동충하초 Ophiocordyceps unilateralis사진 출처: YouTube, Sergio Claussen
어떤 버섯은 좀비 개미를 만든다. 개미동충하초를 만드는 동충하초균은 아마존 열대우림 깊은 곳에서 발견되는 개미동충하초 (Ophiocordyceps unilateralis)이다. 이 불길한 기생균은 개미(carpenter ant)를 감염시키고 개미 몸 전체에서 자라나 결국 뇌를 장악한다. 그런 다음 동충하초균에 붙잡힌 불쌍한 곤충은 둥지를 떠나 근처 나무로 기어 올라가도록 강요당한다. 이 나무는 개미동충하초가 자라기에 완벽한 환경 조건이 된다.

이 나무에서 며칠에 걸쳐 개미의 내장을 먹고 개미 머리를 통해 긴 버섯 줄기를 내보내 포자 캡슐로 자란다. 개미동충하초 포자는 다른 희생자 개미들 위에 비처럼 내려앉는다. 여기서 다시 개미동충하초가 발생하여 같은 암울한 생명 주기를 계속하게 된다.  
 
4. 하루 5만장의 잎사귀를 먹는 버섯
 
사진 4: 절엽(切葉) 개미둥지. 공생 균류(Leucoagaricus gongylophorus)를 키우는 절엽 개미(또는 가위개미 Atta cephalotes)사진출처: flickr.com에서 가져온 Luis Miguel Constantino님의 사진
다른 한편 어떤 버섯은 개미와 좀 더 우호적인 관계를 맺는다. 중남미의 절엽(切葉) 개미는 여우갓버섯속 Leucoagaricus gongylophorus 라는 균류와 조화롭게 일한다. 이 균류는 지하 5미터 살고 있는데 먹기 위해 갓 자른 잎사귀를 모으기 위해 개미 군대를 모집한다! 심지어 개미에게 어떤 종류의 잎사귀를 원하는지 알려준다. 화학적 신호를 통해 그들과 '소통'하는 것이다. 하루에 최대 50,000개의 잎사귀를 나르는 수백만 마리나 되는 개미 행렬의 모습은 그야말로 장관이다.
 (또한 개미는 자기 표피에서 박테리아Pseudonocardia)를 배양하고 이 박테리아는 여우갓버섯속Leucoagaricus gongylophorus를 질병이나 다른 진균 침입으로부터 보호해 준다. 그 대가로 여우갓버섯속 Leucoagaricus gongylophorus는 개미에게 정기적인 먹이를 공급해 준다. Leucoagaricus gongylophorus는 전분을 분해하는데, 이 분해는 개미가 음식으로 사용하는 대부분의 포도당을 생성한다. 이렇게 균류와 개미는 공생관계에 있는 것이다. 말하자면 최초의 버섯 재배는 절엽개미가 시작하였던 것이다. 개미는 잎을 잘라 운반하여 쌓아두면 거기서 버섯이 자라고 버섯은 개미에게 먹이를 제공하는 형식의 공생관계를 이룩한 것이다.
 
5. 지구상에서 가장 큰 생물은 버섯이다.
 
사진 5: 잣뽕나무버섯(Armillaria ostoyae)
지구상에서 살아있는 가장 큰 유기체는 뽕나무버섯이라는 균류이다. 뽕나무버섯의 영어이름은 Honey Mushroom이다. ‘꿀 버섯’이라는 뜻을 가진 영어이름으로 말하면 다소 듣기 좋게 들릴지 모르지만, 이 버섯은 영양분을 얻기 위해 살아 있는 나무에 돋아 나무를 죽이기도 하고 동시에 죽은 나무에서 돋아 죽은 나무의 양분을 취하기도 한다.  말하자면 뽕나무버섯은 기생균이자 부생균이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1998년에 발견된 잣뽕나무버섯(Armillaria ostoyae)은 미국 오리건주의 블루마운틴에서 2,384에이커(거의 10제곱 킬로미터) 넓이에 걸쳐 살아있었다. 잣뽕나무버섯은 그토록 거대한 것일 뿐만 아니라 과학자들은 이 버섯이 적어도 2,400년, 어쩌면 8,650년이나 되었다고 한다! 
 
6. 우리의 발에는 200 여종의 곰팡이가 서식한다.
 
사진 6: 발 사진. 사진출처: Westend61 | Getty
여러분이 하루에 두 번씩 샤워한다고 할지라도 여러분의 발에는 거의 200종의 곰팡이가 자생한다는 사실을 알면 놀랄 것이다. 우리 몸 전체에 서식하지만 가장 좋아하는 곳은 발뒤꿈치(80종), 발가락 사이(40종), 그리고 발톱 밑(60종)이다.

이 균류의 대부분은 전혀 해롭지 않다. 그러나 이들이 증식하면 무좀과 같은 감염이 발할 수 있다.  
 
7. 버섯은 나무가 서로 대화하도록 돕는다.
 
버섯은 나무들이 대화 하도록 돕는다.
버섯이 인터넷을 발명했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모든 숲과 나무 밑에는 나무와 식물을 서로 연결하는 뿌리, 균류 및 박테리아의 복잡하고 비밀스러운 네트워크가 있습니다. 'Wood Wide Web'이라는 이름도 있다.

균근균(Mycorrhizal fungi)의 이 비밀스러운 소셜 네트워크는 거의 5억 년이나 된 것이다. 나무는 균류로부터 질소와 인과 같은 영양분을 공급받는다. 그 대가로 균류는 나무뿌리로부터 탄소가 풍부한 설탕을 받는다. 바로 이러한 공생 관계에서 나무가 땅속에서 서로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하여 곤충의 공격이나 가뭄 및 질병에 대한 경고를 발령하게 된다. 
 
 8. 열대 우림의 빗방울에는 대부분 포자가 포함되어 있다.
 
사진 8: 버섯은 열대우림의 비를 내리는 데도 큰 역할을 한다.사진출처: Raung Binaia | Getty
 버섯은 열대우림에 비를 내리게 하는 데도 큰 역할을 한다. 버섯은 포자 덩이를 공기 중으로 방출하고 숲 위에 떠 있으면서 습기를 끌어들인다. 버섯이나 균류들은 이러한 따뜻하고 습한 환경에서 저지대에 있는 구름으로부터 빗방울 형성을 위한 핵(nuclei) 역할을 한다. 그리고 공중제비를 하는 이 작은 덩이가 주위에 충분한 물을 모으면 비가 되어 땅으로 다시 떨어지는 것이다.
 
참고자료: 
Jason Riley, 8 fantastic facts about fungi,
https://www.bbcearth.com/news/8-fantastic-facts-about-fungi

기사입력시간 : 2024-05-02 04:44:12

최종수(야생버섯애호가) 기자,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자닮,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3
default_setImage2
기사 댓글과 답글 0
전체보기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default_news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