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작지 주변, 길가, 들판 등에서 흔하게 자라는 겨울형 한해살이풀이다. 가을에 발아하여 방석모양으로 겨울을 난다. 4~6월에 흰색 꽃이 줄기 끝에 취산꽃차례로 달리며 열매는 5~7월에 익는다
점나도나물(Cerastium holosteoides var. hallaisanense)은 밭이나 논두렁, 과수원 주변에서 흔하게 자라는 겨울형 한해살이풀이다. 한 겨울에 땅바닥에 붙어서 겨울을 나는 모습이 무척 소담스럽다. 다 자라봐야 높이 15~30cm로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비스듬히 큰다. 줄기는 대개 흑자색이 돈다. 잎은 마주나며 타원형으로 양끝이 좁다. 전체에 잔털이 무성하다.
![]() |
![]() |
밭이나 논두렁, 과수원 주변에서 흔하게 자라는 겨울형 한해살이풀이다 |
4~6월에 꽃이 줄기 끝에 모여 핀다. 꽃잎은 흰색으로 5장이며 끝이 갈라져 있다. 암술머리는 5갈래이며 그 주위를 10개의 수술이 빙 둘러 서 있다. 꽃받침은 꽃잎과 길이가 거의 같고 뒷부분에 샘털이 무성하다. 샘털에서는 끈끈한 점액질 성분이 분비된다. 꽃의 뒤쪽에서 꿀을 훔치려는 곤충으로부터 스스로를 지키기 위한 장치이다.
![]() |
유럽점나도나물은 전체가 연한 녹색을 띠며 줄기 아래쪽 잎이 주걱모양이다 |
꽃가루받이가 되어 수정이 이루어지면 암술대는 원뿔 모양으로 자라 열매가 된다. 동시에 꽃자루도 길어져 열매는 밑으로 쳐진다. 씨앗이 영글면 열매 앞부분이 열 가닥의 왕관모양으로 터지며 아래로 수십 개의 씨앗들을 쏟아낸다. 씨앗은 밝은 갈색으로 겉에 작은 돌기가 있다. 이런 돌기는 흙과의 마찰력을 높여서 땅에 잘 달라붙도록 한다.
![]() |
![]() |
4~6월에 줄기 끝에 흰색 꽃이 모여 핀다(위:점나도나물, 아래:유럽점나도나물) |
점나도나물은 줄기 윗부분에서 잎과 꽃받침 끝이 점처럼 붉은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반면 주위에서 더 흔하게 볼 수 있는, 귀화식물인 유럽점나도나물(Cerastium glomeratum)에는 그러한 붉은 점이 없다. 유럽점나도나물은 새순에서부터 전체적으로 연한 녹색을 띠며 줄기 아래쪽 잎이 주걱모양이다. 그리고 끈끈한 점액성 물질을 분비하는 샘털도 더 많다.
![]() |
점나도나물 꽃(왼쪽)과 열매/씨앗(오른쪽) |
@활용 및 약성
겨울과 이른 봄에 어린 순을 데쳐 나물로 무치거나 된장국을 끓인다. 감기로 인해 열이 나는 데, 고혈압, 유선염, 부스럼 등에 효능이 있다. 맛은 밋밋하고 성질은 서늘하다.
@방제 방법
키가 크지 않기 때문에 과수원 같은 경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밭이나 온실이라면 씨앗이 흩어지기 전인 봄에 줄기를 제거하는 것이 좋다.
@이름 유래 및 유사종
꽃이 필 때 꽃받침 끝이 점처럼 붉은 색을 띠고 종종 나물처럼 이용한 데서 이름이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비슷한 풀로는, 전체적으로 연한 녹색을 띠는 유럽점나도나물과 꽃이 큰 큰점나도나물 등이 있다.
기사입력시간 : 2020-01-27 19:56:22
유걸 기자, 다른기사보기#점나도나물#유럽점나도나물#큰점나도나물#점나도나물무침#잡초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