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수 중에 일부 경수가 있다. 이 물을 농약물에 적합한 물로 만드는 연수기를 만드는 과정을 소개한다.
물에 칼슘과 마그네슘, 철분 등의 양이온이 과하게 들어간 물을 경수(센물)이라고 한다. 이런 물은 증발하면 흰색가루가 남기도 하고 철분이 많은 물의 경우는 붉은 색이 남기도 한다. 연수인가 경수인가를 자닮오일 테스트를 통해서 바로 알 수 있다. 물에 약간의 자닮오일을 넣어봐서 물색이 맑은 채 전혀 변화가 없으면 연수이고 물이 탁해지면 경수라고 보면된다.
전국적으로 지하수가 경수인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런 경수는 자닮식 천연농약의 물로는 적합하지 않다. 경수를 농약물로 사용하면 농약이 전착력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약흔과 약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연수하기 위해서는 양이온교환수지가 들어있는 연수기를 이용해서 물을 걸러내야한다. 연수는 화학농약을 사용하는 농가에게도 도움이 된다. 농약효과가 높아져 농약값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자닮에서 스테인레스인 연수기를 제작해서 판매를 해왔다. 농민 여러분들의 도움을 드리고저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연수기 제작 과정을 자세하게 동영상으로 촬영해서 올린다. 관련된 부품은 자닮몰에서 판매한다. 여러분들은 자닮몰의 부품외에 양이온교환수지와 용기를 별도 구입하면된다. 양이온교환수지는 자닮몰에서 판매한다.
60L 드럼으로 자가 제작한 연수기에 양이온교환수지 25~50L를 넣으면 대략 10~40톤 정도의 물을 연수할 수 있다. 칼슘과 마그네슘이 많이 든 물인 경우 양이온 교환수지를 50L 넣는 것이 좋다. 용기를 큰 것으로 해서 수지를 많이 넣을 수록 한번에 연수할 수 있는 능력이 증가한다. 연수능력에 오차가 많은 이유는 물에 포함된 양이온의 양에 따라 연수능력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양이온교환수지는 전세계 어디서나 거의 다 구할 수 있다. 대형건물에는 배관을 보호하기 위해 양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며 수돗물을 생산할 때도 필수적으로 들어가기 때문이다.
- 100평에 농약물로 사용되는 물량이 1~2톤 정도 된다.
- 양이온교환수지는 소금물 재생을 통해서 15번 내외 재생을 해서 사용할 수 있다. 소금물 재생 방법이 동영상에 자세하게 소개되어 있다.
- 연수기는 겨울에 따뜻한 실내에 보관해야한다. 소금물로 재생을 해서 보관을 하면, 동파도 방지하고 연수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 철분이나 유기물 함량이 높은 물은 연수기에 물이 들어가기 전에 이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반드시 부착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양이온교환수지의 양이온 교환능력이 현저히 떨어진다.
* 양이온교환수지는 자닮몰에서 구입 가능. 문의 1899-5012
- 동영상 보기 (20분)
![]() |
![]() |
시험제작에서는 60리터짜리 통을 사용했다. |
![]() |
자닮몰(shop.jadam.kr)에서 판매하는 대형 연수기 제작 부품. 가격 64,000원. 추가로 양이온교환수지와 용기의 구입이 필요하다. |
양이온교환수지는 전세계 어디서나 거의 다 구할 수 있다. 대형건물에는 배관을 보호하기 위해 양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며 수돗물을 생산할 때도 필수적으로 들어가기 때문이다.
- 100평에 농약물로 사용되는 물량이 1~2톤 정도 된다.
- 양이온교환수지는 소금물 재생을 통해서 15번 내외 재생을 해서 사용할 수 있다. 소금물 재생 방법이 동영상에 자세하게 소개되어 있다.
- 연수기는 겨울에 따뜻한 실내에 보관해야한다. 소금물로 재생을 해서 보관을 하면, 동파도 방지하고 연수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 철분이나 유기물 함량이 높은 물은 연수기에 물이 들어가기 전에 이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반드시 부착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양이온교환수지의 양이온 교환능력이 현저히 떨어진다.
* 양이온교환수지는 자닮몰에서 구입 가능. 문의 1899-5012
- 동영상 보기 (20분)
일반화질
|
고화질
|
기사입력시간 : 2018-11-26 14:54:37
조영상 기자, 다른기사보기<저작권자 © 자닮,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