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연령, 부모가 모두 있는 온전한 가정의 출신인지의 여부, 여성 자신의 삶에서 종교가 지니는 중요성 및 경제적 요인등이 결혼 및 동거 기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번 연구는 결혼전 동거 경험이 있는 커플이 그렇지 않은 커플과는 다른 가치를 지니고 있을 수 있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미국 질병 통제 및 예방 센터(CDC)의 건강 통계부는 수요일(현지시간) 미국에서 결혼전 동거한 커플이 그렇지 않은 이들보다 좀 더 쉽게 이혼을 고려한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내놨다. 결혼과 이혼, 재혼 및 동거에 관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여성의 75%는 30세 이전에 결혼을 하고, 약 50%가 결혼 전에 자신의 파트너와 동거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보고서는 15~44세 사이의 여성 1만1천명을 대상으로 1995년에 실시한 인터뷰를 토대로 작성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결혼전에 동거를 하지 않은 부부가 결혼 10년내에 갈라설 확률은 31%인데 비해 동거 경험이 있는 부부가 갈라질 확률은 40%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보고서 작성에 참가한 한 연구자는 이 보고서가 혼전 동거가 관계를 끝내게 되는 원인이 된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는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연구자인 윌리엄 모셔는 이 연구는 동거 자체에 대해 얻어낸 결과라기 보다는 동거하는 사람에 대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연구를 통해 우리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결혼전 동거를 하는 커플들이 그렇지 않은 커플들과 다른 가치를 지니고 있을 수 있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혼전 동거 경험이 있는 커플은 좀 더 쉽게 이혼을 고려하는 종류의 사람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CDC의 국립 건강 통계 센터의 보고서 역시 결혼과 혼전 동거 간의 성공률을 비교했다. 그 결과, 첫번째 결혼이 5년내 별거나 이혼으로 끝날 확률이 비동거 커플의 경우 20%인 반면, 혼전 동거 커플은 49%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 따르면 첫번째 결혼 10년 후의 확률은 각각 33%, 62%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자료는 여성의 연령, 부모가 모두 있는 온전한 가정의 출신인지의 여부, 여성 자신의 삶에서 종교가 지니는 중요성 및 경제적 요인등이 결혼 및 동거 기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이 연구는 이혼한 여성이 재혼할 확률이 지난 50년간 감소해왔음을 밝혀냈다. 1995년도의 자료에 따르면 1980년대 이혼한 여성이 재혼할 확률은 50%로, 1950년대의 65%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또한 배우자와 별거한 백인 여성이 히스패닉 및 흑인 여성에 비해 이혼으로 관계를 끝낼 확률이 더 높고, 부유한 지역의 여성들이 이혼할 확률이 더 높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ATLANTA, Georgia (CNN) / 이정애 (JOINS), 2002.07.31 16:26 수정 출처 : http://www.joins.com/cnn/200207/30/200207300742414674800081708171.html
기사입력시간 : 2003-07-16 10:04:50
운영자, 다른기사보기<저작권자 © 자닮,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