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비타민 C 과다 복용에 따른 부작용 기작 규명

default_news_ad1

철분 영양제 복용의 경우 체내에서 자유 철 성분이 증가하는데 이 물질이 비타민 C와 반응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

타박상이나 근육 염좌(muscle sprain), 감염증에 걸린 사람이나 철분 영양제를 복용하는 사람들이 하루 100밀리그램 이상의 비타민 C를 복용하는 것은 몸에 해롭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미국 플로리다대학(Univ. of Florida)의 과학자들이 수행한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자유라디칼 생물학·의학(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9월호에 소개됐다.

발표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타박상이나 근육 염좌, 감염증, 철분 영양제 복용의 경우 체내에서 자유 철 성분이 증가하는데 이 물질이 비타민 C와 반응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 이 과정은 마치 철이 수분과 산소에 의해 녹스는 반응과 유사하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이번 연구는 세포 수준에서 비타민 C와 또 다른 수용성 항산화제(water-soluble

antioxidant)인 N-아세틸-시스테인(N-acetyl-cysteine ; NAC)이 미치는 영향 규명에 초점을 맞춰 진행됐다. 연구진이 검증하려던 가설은 비타민 C와 NAC가 항산화 작용을 통해 근육 손상의 회복 속도를 높이고 손상된 세포 부위에 빠르게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이 같은 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연구진은 14명의 건강한 사람의 팔에 인위적으로 상처를 유도한 다음 절반에게 위약(placebo)을, 나머지 사람들에게는 700밀리그램의 비타민 C와 800밀리그램의 NAC를 복용시킨 후 결과를 비교, 분석했다.

분석 결과 연구진은 비타민 C와 NAC의 투여 초기에는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확인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손상이 심화되는 경향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진이 제시한 이에 대한 원인은 바로 철 성분이 비타민 C 및 NAC와 반응을 나타내기 때문에 상처가 악화된다는 것이다. 정상적인 경우 철은 단백질이나 효소와 결합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비타민 C나 NAC와 반응하지 않는다. 그러나 염증이 발생하면 체내에서 단백질과 결합하지 않은 자유 철 성분이 증가하고 이 물질이 외래 성분과 강하게 반응을 할 수 있다.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과 관절염(arthritis), 심장혈관계 질병 등에도 염증 발생이 동반하기 때문에 이 질병에 걸린 환자들이 비타민 C와 같은 항산화제를 과량 복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결론이 유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번 연구 결과 발표로 비타민 C 복용을 꺼릴 이유는 없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보통 비타민 C의 하루 권장량은 80밀리그램에서 90밀리그램 정도인데, 이 정도의 섭취는 몸에 해롭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정도의 권장량을 넘어 하루 100밀리그램 이상의 비타민을 섭취할 경우에는 체내에 잔존하는 비타민 C의 양이 증가함으로써 득보다 실이 많다는 설명이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학자들에 따르면, 흔히 비타민 C가 암을 예방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오히려 DNA를 파괴해 해를 입힐 수 있다. 실제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비타민 C가 증가할 경우 DNA 손상도 증가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또한 아직까지 비타민 C와 철분을 장기간 함께 복용할 경우 어떤 결과가 얻어지는지에 대해 적절한 연구 결과가 얻어진 사례가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보인다.

출처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등 록 일 2001-10-04 원문출판일 2001년 09월 27일

UniSci (http://unisci.com/stories/20013/0927015.htm)

기사입력시간 : 2003-07-17 11:23:55

운영자,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자닮,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3
default_setImage2
기사 댓글과 답글 0
전체보기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default_news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