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1. 유럽 유기농업의 현황과 지원정책

default_news_ad1

최동근(친환경농산물자조금관리위원회 사무국장)

1. 유럽 유기농업의 역사 
 
 1800년대 후반 영국은 산업혁명 이후 도시화와 공업의 발달로 인하여 식량이나 공업 원료(양모 등)의 소비증대와 함께 식량 생산이 현저하게 증가했지만 농약과 화학비료에 의존함으로써 지력의 손실과 다양한 병해충과 직면하게 되었다.
 따라서 토양황폐화에 대한 관심이 커지게 되어 토양의 비옥도를 회복하고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방법을 찾은 사람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들이 루돌프 슈타이너(Rudolf Steiner), 알버트 G. 하워드(Allbert G. Howard), 로데일(J. I. Rodale) 등이다. 

 인지학의 창시자인 슈타이너 박사(1861 –1925)는 세상을 떠나기 1년 전 1924년 6월7일 오스트리아 비엔나 근처의 코베르뷔츠 지방에서 농민들을 위해 “농업 쇄신을 위한 영적 토대”라는 제목으로 강좌를 개최하였다. 당시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식량 부족에 시달리고 화학비료의 사용에 의해 이미 종자의 발아율, 병해충에 대한 저항, 가축의 건강, 농산물의 맛 등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었다.   

  슈타이너박사는 ‘생명현상을 포함한 지구상의 모든 현상은 우주의 법칙에 의해 지배된다’는 전제 하에 ‘인간이 지구상에서 생명을 유지하게 하는 것은 농업’이라고 했다. 생명을 지닌 유기체인 토양을 황폐화시키는 화학비료의 사용을 금하고, 인간이 받는 스트레스의 원인을 인위적인 음식 때문이라고 보고 식물성 퇴비를 이용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자연의 리듬과 조화를 중시하며 건강한 토양 만들기와 식물의 조성력 증진 달성을 이룰 수 있는 지속가능한 농업에 관한 8개의 강의를 했다.

  생명역동농업(바이오다이나믹: Bio-dynamic agriculture)은 무농약, 무화학비료는 물론이고 광물, 식물, 동물 등으로부터 특별한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증폭제"나 특수한 달력을 이용해 농작물을 재배하고 있다. 생명역동농업의 이론은 슈타이너의 강의에 기초한 것을 그의 동조자들이 발전 계승한 것으로, 그것을 중심으로 생명역동농업 연구회를 만들었다.
 
 또한 1928년부터 시작한 데메터(demater)[1]라는 품질인증제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생명역동농업에서는 태양과 달을 포함한 천체 운행에 따른 농사력에 입각하여 농작업의 계획을 세우고, 가축과 작물을 겸하는 복합영농을 이상적인 농업형태로 보고 있다. 식물의 생장이 단순히 햇빛이나 물, 온도, 영양뿐만 아니라 우주 전체가 영향을 미친다고 믿고 태양뿐만 아니라 달과 12별자리의 움직임까지 살펴서 농사에 적용한다는 얘기다. 그래서 같은 철에 재배하는 작물도 뿌리작물이냐 잎작물이냐에 따라 씨를 뿌리는 시기가 엄격히 구분된다. 이러한 생명역동농업은 유럽 유기농업의 중심이 되었고 데메타는 세계 20여 개국에 18개 협회를 가진 세계최대의 유기농업단체가 되었고 영국 등의 유기농업 단체들과 연대 1972년 세계유기농업운동연맹(IFOAM)의 창설의 중심 역할을 하기도 했다. 독일의 생명역동농법은 1930년대 일본의 자연농업 발전에도 영향을 미쳤다. 1936년 일본에서는 오카다 모키치 (岡田茂吉, Mokichi Okada)에 의해 자연농업이 창안되었고 후쿠오카 마사노부 (福岡 正信,Masanobu Fukuoka)의 4무 농법(Do-Nothing Farming)의 발전을 가져왔으며 오늘날까지 일본 유기농업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정농회에서 실천하고 있다. 
 
   한편 하워드 경은(1873-1947) 영국의 식물병리·미생물학자로서 40년간이나 인도의 농업시험장에서 토양과 인간의 건강을 지키는 농업을 위해 자연의 원리 원칙을 충실히 따르는 연구자세로 일관하였으며, 그는 독특한 농법으로 퇴비 제조법과 작물의 윤작법의 기술체계를 수립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러한 유기농업 연구로 영국 왕실로부터 ‘경’의 지위를 받았다. 그리하여 유기농업의 대부라고 오늘날까지도 존경을 받는 인물이 되고 있다.
 그의 저서로 인도에서의 경험과 동아시아 유기농업에 대한 보고서 등을 바탕으로 저술한 ,『농업 성전(Agricultural Testament)』[2], 『흙과 건강』, 『 의학 성전』 등이 있으며,그의 유기농업의 기본적 이론체계는《퇴비 제조법 》,《 균근 공생 (菌根 共生》,《 윤작법》의 3대 원리로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하워드 경은 화학비료와 농약의 피해가 토양과 농작물, 그리고 동물과 인간에게 질병을 준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화학적 농법과 전쟁을 선포하여 사용을 금지할 것을 농민들에게 교육하였으며 그 대신 유기물을 활용하는 퇴비농법을 제창하였다.
  산업혁명 이후 도시화와 공업화의 발달로 인해 식량과 공업원료의 소비증대를 초래하게 됨에 따라 식량과 축산물의 현저한 생산증가가 촉진되었지만 화학비료와 농약에 의존하게 됨으로써 지력의 손실과 다양한 병충해를 입은 서양농업은 토양 황폐화를 불러오고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유기농업에 의해 토양의 비옥도를 회복하고 계속 유지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자연은 해충, 병균을 방제하기 위해 독제를 살포하는 인위적 보호를 원하지 않으며 자생적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하였다. 그는 삼림의 동식물 중에서 부분적으로 병이 발생하고는 있지만 이것이 자연을 파괴할 정도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지는 못한다고 지적하고, 이와 같이 자연의 법칙은 항상 동식물이 살아갈 수 있도록 여건을 제공해 준다고 보았다. 곧, 자연에는 생태학적 균형을 저절로 유지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결과적으로 자연순환의 농업만이 가장 우수하고 건전한 세계를 이루어 갈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하워드 경은 영속적인 농업의 발전내지 안정은 지력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것이며 그 지력은 토양중의 부식에 유래한다고 밝혔다. 따라서 자연의 생산과 부식의 작용이 균형을 이루는 것이 농업원리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퇴비는 작물 생산의 증대를 보증할 뿐만 아니라 작물의 생산을 건전하게 만들고 병충해를 물리치는 힘을 가졌다고 밝히고, 건전한 식량의 생산을 위해서 토양에 대한 유기물의 환원은 아주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유기농업”이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한 영국의 노드보른(North bourne)이 1940년에 발간한 ‘땅에 대해 생각하다( Look to the Land )’라는 책에서 농장을 유기체에 비유한 것에 대해 영감을 얻어 “유기농”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1943년 발간된 『살아있는 토양』('The Living Soil) 의 저자인 이브 발포어(Lady Eve Balfour)[3]는  “토양, 식물, 동물 및 인간의 건강은 하나이며 나눌 수 없다”는 하워드 경의 영향을 받아 영국의 농장에서 유기농업과 재래농업을 비교하는 과학적인 실험을 처음 실행하였다.
 
이브여사 등 토양협회 설립자.
  그 실험에서 유기농법이 농장의 전체 수확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재배될 때 작물이 더 뿌리가 튼튼하게 발전하는 것과 같은 독특한 반응을 보인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이후 이브가 중심이 되어 1946년 토양협회가 설립되어 농업인, 과학자, 영양학자들이 농법과 식물, 동물, 인간, 환경간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하고 실천해 영국에서 지금까지 유기농업을 전파하고 있다.

 이후 유기농법은 1960년대 서구의 대학생들이 펴온 환경(ecology) 운동[4]과 함께 주목을 크게 받아 독일에서는 자연과 환경보호를 위한 시민자치 운동으로 유기농업 운동이 전파되기 시작되었다. 유기농업은 가족 단위의 소규모 농장에서 환경의 피해를 주지 않는 방법으로 농산물을 생산하여 기존의 관행농업을 개혁하자는 취지에서 출발하였다. 
 미국의 유기농업은 로데일(J. I. Rodale, 1869~1971)에 의해서 널리 전파되고 발전되었다. 로데일은 하워드의 농업성전의 영향을 받아 펜실베니아 주  엠마우스(Emmaus)에 60에이커 농장을 구입하고 스스로 유기농법 영농을 실천하였다. 또한 이를 널리 보급할 목적으로 월간잡지 『유기원예(Organic Gardening)』를 창간하고, 『유기농법』등 60여권의 저술을 남기고, 소비자 잡지인 Prevention(예방)을 발간하였다. 유기원예는 현재 “Organic Gardening and Farming(유기농 원예 및 농헙)”으로 개칭되어 발행되고 있으며, Rodale Institute(로데일 연구소)는 꾸준한 유기농업의 연구, 출판 및 홍보 활동을 통해 미국 유기농업 운동의 총본산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후 1972년 프랑스의 자연과 진보(Nature et Progrès)의 Roland Chevriot의  제안으로 유기농에 대한 과학적 및 실험적 데이터 공유 및 유기농업을 촉진하기 위해 영국 토양 협회, 스웨덴 생명역동협회, 미국의 Rodale Institute 등 유기농 선구자들을 베르사유에 초청하여 국제유기농업연맹((IFOAM ORGANICS InternationaI)을 설립했다. 오늘날 유기농업은 전 세계 120개 국가의 800여 유기농업 단체, 유기농 유통회사, 유기농 가공회사, 유기농 연구기관 등이 회원으로 가입하고 있는 세계유기농업운동연맹) 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1] 데메터(DEMETER) 유기농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동식물을 키우는 과정 전체와, 그 과정에서 사용되는 100% 유기농 사료만 사용하는 지에 대해 철저히 조사를 받아야 한. 또한 오직 유기농 씨앗만을 사용해야 하고, 13가지 첨가물을 제외하고는 천연향료조차도 사용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유럽의 인증 규정보다 몇배나 엄격한 규정을 지니고 있다. 
[2] 프랭클린 킹의 저서 『유기농업의 원류 –중국. 한국. 일본 4천년의 농부』. 이 책은 농업생태계가 그 구성요소 각각이 복잡하게 상호 작용하여 성립하므로, 구성요소 각각의 양을 하나하나로 보면 결코 설명되지 않는다고 강조하면서, 지난 1970년대 초까지 지난 반만년 동안 우리 선조가 실천해왔던 유축순환농업인 전통적 농업생산 양식을 유기농업의 이상적 모델로 삼고 있다.
[3] 이브 여사는 1938년 하워드 경을 만나 그의 사상에 감명을 받고 여동생 메리와 함께 서퍽(Suffolk)의 Haughley Green에 있는 농장을 구입하여 1943년 유기농업과 재래식농업의 비교 실험을 실행하였고 그 결과를 ‘살아있는 토양’에 발표하였다. 
[4] 레이첼 카슨(Rachel Carson,)여사는 1962년 침묵의 봄((Slient Spring,)을 저술하여 DDT의 전방위적인 과도한 사용이 가져온 생태 환경 파괴에 대한 고발하였다. 이 책은 미국과 서유럽의 환경에 대한 인식이 크게 성장하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1968년 전 세계를 휩쓴 젊은 세대들의 체제 저항운동과 함께 지구적인 환경보호운동을 촉발하는 기폭제가 되었다. 
 

기사입력시간 : 2023-03-09 14:21:19

최동근,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자닮,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외#유기농#정책#유럽
관련키워드기사 [키워드 기사 전체 목록]
default_news_ad3
default_setImage2
기사 댓글과 답글 1
전체보기
  • 겨울나무 2023-03-18 08:10:48

    제가 미국 로데일 유기농 연구소를 처음 알게된 것은 펜실베이니아 필라델피아에서 조그만 텃밭을 가꾸게 되어 Organic Gardening이라는 잡지를 구독하면서부터입니다. 그 뒤 Rodaĺe Institute 에 여러번 방문하였고 특히 한국에서 미국산 쌀을 개방 수입하게되자 거센 반발이 있었고 한국에서 기독교 농촌목회자 여러분이 미국에 항의하러 오셨습니다. 그래서 그 분들이 필라델피아에 오셨을 때 이분들을 모시고 Rodale Institute에 가서 오전 강의를 듣고 그곳에서 유기농농산물로 차린 점심대접을 받았습니다. 뿐만아니라 유기농백과사전을 한권씩 선물로 받았고 누구든지 한분이 비행기만 타고 로데일 연구소에 오면 숙식제공하고 일년간 유기농교육을 받게 해주겠다는 제의를 받았습니다. 특기할 것은 해마다 3월이면 필라딜피아 시에서 flower show를 여는데 그 행사장에 로데일 연구소에서는 순전히 형형색색 고추만 가지고 정원을 가꾸어 전시함으로써 유기농 교육홍보합니다.

    default_news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