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곤충 이야기] 토마토녹응애(Aculops lycopersici)

default_news_ad1

눈에 잘 띠지 않는 해충(응애)을 소개 합니다.

유기농 토마토 농가에서 방제가 소홀해진 틈을 타서 전 포장에 피해를 주기도 하는 아주 미소한 해충입니다. 응애과 속성상 황을 태우거나 뿌리기만해도 방제효과는 지속적으로 나타낼 수 있으니 초기에 방제에 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 합니다. 가능하시다면 육묘단계부터 관심을 가지고 관찰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www.jadam.kr [ copyright D. K. Park  ]
A: 토마토녹응애 알 전자현미경 사진(융모 사이 밑부분에 안전하게 산란함, 알사진 하단은 기공 임) B: 성충 전자현미경 사진

토마토녹응애

응애목 혹응애과

О학명 : Aculops lycopersici M.

О영명 : Tomato russet mite

О크기 : 140~180㎛(0.2mm내외)

О기주 : 가지과 작물 및 화훼등으로 토마토, 가지, 감자, 담배, 페튜니아, 까마중 등 28종이상 식물

О분포 : 한국, 일본, 미국, 스페인, 뉴질랜드, 유럽 등

▒ 국내발생경위

토마토녹응애는 토마토 재배농가 큰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미국, 스페인, 뉴질랜드, 스리랑카 등지에 분포하여 시설채소 재배농가에서 큰 문제해충으로 대두되고 있는 해충이다. 가까운 일본에서는 1986년 오키나와현의 토마토에서 처음 발견되어 현재는 동해지방부터 서쪽 지역에까지 널리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한국의 경우 1995년 처음 부여지방 유리온실서 처음 발견 되었고, 그 후 강원지역 등 국부적으로 발생되어 약제방제를 실시한 적이 있고 지금까지도 논산,경북지방 등지에서도 문제시되는 해충으로 남아 있다.

www.jadam.kr [ copyright D. K. Park  ]
토마토 잎 뒷면 토마토녹응애의 일반현미경 사진

▒ 형태 및 생활사

본 해충은 유백색∼연노랑색의 고깔 모양으로 된 응애로서 구기자혹응애, 귤녹응애등과 같이 혹응애과에 해당된다. 이 해충의 암컷은 길이가 150∼180㎛이고, 수컷은 140∼150㎛이다. 이의 등판모양 및 발톱구조가 특이하므로 분류학적인 특징이 된다. 토마토에서 국내에 미보고 되어 있는 본 해충과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것이 있어(토마토의 줄기 또는 잎 뒷면에 하얀 털모양의 증상) 녹응애와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발생적온은 25∼28℃, 습도 30% 조건에서 다발하며 그 경우 알기간은 약 2일, 약충기간은 약 3일, 약충∼성충까지 약 6∼7일 정도면 한 생활환을 이룰 수 있고, 1개의 암컷이 약 53개의 알을 낳으며 알을 낳을때는 잎의 보호조직 근처에 낳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처녀생식이 가능하여 수컷이 없이도 번식을 할 수 있다. 이 응애는 방랑하면서 잎, 줄기, 과실의 표면조직을 흡즙하며 번식은 5월초∼11월까지 이루어지며 여름∼초가을에 상당한 피해를 준다.

월동기주는 까마중, 페튜니아 등으로 밝혀져 있으며 난방하는 시설하우스내에서도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 종의 분포는 전세계적으로 확산 될 것으로 사료되며 일단 국내에 정착된 해충이기 때문에 또는 하우스내 월동 기주식물의 잔존여부 및 친환경 농산물 재배의 급증에 따라서 앞으로 지속적인 피해를 줄 것으로 예상 할 수 있다.

www.jadam.kr [ copyright D. K. Park  ]
A-신초피해(먼지가 앉아있는 것처럼 보임, B-꽃피해, C-줄기피해, D-방울토마토 과피해

▒ 피해

본 해충은 혹응애과에 속하는 전형적인 피해증상인 혹을 형성하지는 않지만 잎, 줄기, 과일 등의 지상부 모든 부위에서 가해를 하며 심할 경우에는 전체 식물체가 고사하는 경우도 있다. 잎의 증상은 잎맥을 따라서 황갈색∼청동색 빛의 광택을 내는 증상을 보이며 때에 따라서는 급격한 밀도 증가시 먼지가 올라 앉은 모양을 하기도 한다. 과실은 태양에 그을린 자국 또는 메론형 과실이 되기도 한다. 이 해충은 하위엽부터 발생되어 점차적으로 상위엽으로 이동 한다. 잎은 가해 받은 후 3∼4주가 지나면 갈색으로 변하고 식물체는 고사 한다. 특히 유묘기에 가해를 받을 경우 식물체가 크지 못하고 오갈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다. 이 해충은 30배의 확대경으로 보아야 할 만큼 아주 작은 해충이어서 초기에 침입한 증상을 포장에서 관찰 하기는 매우 어렵다. 따라서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초기에 발견하기가 극히 힘들다.

www.jadam.kr [copyright D. K. Park  ]
토마토 대과 피해(과병에 털이 없이지고 갈색화 되며 광택이 난다)

www.jadam.kr [ copyright D. K. Park  ]
토마토 잎 피해(잎의 기부부터 전형적인 녹슨 현상처럼 보인다)

▒ 방제

이 해충은 초기에 발견하기 어렵고 자칫 병해 증상처럼 피해가 나타나므로 조기방제 시점을 놓기 쉽다. 하지만 일반적은 응애약제가 잘 방제가 되며 자료에 의하면 흰가루병약, 유황제 등을 사용하면 병방제와 동시에 방제가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전용약제로는 켈센유제, DDVP유제 등을 사용하며 밀감 녹응애에 준한 방제가 가능하다. 천적으로는 Neoseiulus barkeri 등이 있다.

기사입력시간 : 2016-01-21 20:47:27

박덕기 기자,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자닮,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박덕기#곤충
default_news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