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응애류 천적
천적산업의 태동시 시설내 작물은 효과적인 천적 곤충군들이 다수 구비되어 있었으나 과원이나 노지 작물처럼 너른 면적을 차지하는 영농형태에서는 적용이 가능한 천적곤충이 그다지 많지 않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이에 저온적응성 및 수간이동이 용이한 종들을 탐색하기 시작 하였고 토착천적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었던 바 있습니다. 그러나 토착천적의 경우 방제효과가 약간 떨어지는 경향이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외국으로 부터 도입하게 된 천적곤충 입니다. 앞으로 소개 될 토착천적 응애혹파리에 관한 연구가 미흡했던 점도 도입을 서두르는 동기가 되었습니다.
![]() |
ⓒ www.jadam.kr [copyright by D. K. P ] 사막이리응애 성충(측면) †다자란 성충은 연한 핑크빛이 돈다 |
![]() |
ⓒ www.jadam.kr [ copyright by D. K. P ] 사막이리응애 성충(등면) †다른 이리응애와는 달리 다리가 짧은 것을 볼 수 있다 |
사막이리응애
응애목 이리응애과
О 학명 : Amblyseius californicus (McGregor)
О 영명 : Predatory mite
О 크기 : 몸길이 ♀0.35mm, ♂0.3mm
О 기주 : 점박이응애, 차응애, 사과응애 등 잎응애류 및 총채벌레 온실가루 등 포식
О 분포 : 아르헨티나, 칠레, 일본, 미국 등(도입천적)
배판은 망상이고 흉판은 길쭉하고 수정낭경부는 스폰지 모양이다. 제4각무릎마디는 큰 털이 없다. 암컷은 몸길이는 0.35mm이고 수컷은 0.28mm이다.
암컷성충은 잎뒷면의 엽응애류 군집이 있는 곳에 주맥을 따라 엽모(leaf hair)에 부착하여 산란하며 생활사는 알, 6개의 다리를 가진 유충, 전약충, 후약충, 성충단계를 거친다.
![]() |
ⓒ www.jadam.kr [copyright by D. K. P] 사막이리응애 후약충 |
![]() |
ⓒ www.jadam.kr [copyright by D. K. P ] 사막이리응애 전약충 †전약충부터 본격적으로 포식활동을 한다 |
알에서 성충까지 발육일수는 21℃에서 10일, 30℃에서 5일 정도로 점박이응애와 비슷하거나 약간 짧은 편이다.
![]() |
ⓒ www.jadam.kr [ copyright by D. K. P ] 사막이리응애 알 †털주변 등 보호가 될 수 있는 장소에 산란 |
점박이응애, 차응애, 사과응애, 귤응애 등 엽응애류를 광범위하게 포식한다.
발육 최적온도는 22℃정도이고, 저온 내성이 있다. 발육기간은 점박이응애를 먹이로 20℃에서 10일이고, 25-30℃에서 약 5일이다. 총산란수는 약 50~60개이다. 활동온도는 15-30℃이고 습도는 40-80%에서 활동을 한다.
![]() |
ⓒ www.jadam.kr [copyright by D. K. P ] 사막이리응애가 점박이응애를 포획하는 장면 |
![]() |
ⓒ www.jadam.kr [ copyright by D. K. P ] 사막이리응애에 의한 점박이응애 사멸체 †알, 약충, 성충 등의 체액을 흡즙하여 사멸시킨다 |
선호하는 먹이인 응애가 없을 경우 화분(pollen)이나 총채벌레, 온실가루이를 섭식하기도 한다. 이는 포장적응력을 높여주며 예방적 방사가 이루어지면 조기 정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딸기의 경우 꽃피는 시기에 미리 포장방사하면 방제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기사입력시간 : 2016-03-01 01:30:04
박덕기 기자, 다른기사보기#박덕기#곤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