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곤충 이야기] 목화진딧물

default_news_ad1

공통해충

너무 흔하게 발생하여 익히 아시는 종입니다. 가끔은 들깨진딧물과 혼동하시는 경우가 있으나 약충단계(어린벌레)의 복부와 뿔관부분을 보시면 어렵지 않게 구별이 가능 할 것으로 생각 됩니다.

www.jadam.kr [ copyright by D. K. P ]
목화진딧물 유시성충

www.jadam.kr [ copyright by D. K. P ]
목화진딧물 무시성충

목화진딧물

노린재목 진딧물과(매미목 진딧물과)

О 학명 : Aphis gossypii Glover

О 크기 : 유시충 1.4mm, 무시성충 1.6mm

О 기주 : 오이, 참외, 수박, 멜론 등 박과작물, 무궁화, 석류나무, 감귤, 배 등 광범위기주

О 분포 : 전 세계적 분포

유시충의 몸길이는 1.4mm로서 체색은 녹색, 황색, 갈색 또는 흑갈색 등 다양하다. 제1, 2배마디 등판 중앙부에 1~2개의 연한 흑색 띠가 있고, 7, 8배마디 등판에도 검은 띠가 있다. 뿔관은 검고, 원기둥 모양으로서 비늘무늬가 있으며, 끝부분에는 테두리가 약간 발달되어 있다. 무시충은 몸길이가 1.5mm로서 몸색은 녹황색, 흑녹색 또는 검은 빛깔을 띤다. 뿔관은 검고, 끝으로 갈수록 약간 가늘어지는 원기둥 모양으로서 비늘무늬가 있고, 끝부분에는 테두리가 발달되어 있다.

www.jadam.kr [ copyright by D. K. P ]
목화진딧물 성충의 산자(새끼를 낳음) †일년중 알을 낳은 시기는 월동세대 뿐이다. 그나머지 기간에는 산자를 하게되어 빠른 속도로 증식 할 수 있다.

약충은 3회 탈피하여 성충이 되는데, 성충이 되기까지 5-8일이 걸린다. 번식기간은 8-14일간이며 여름에는 짧다. 암컷 한마리는 50-60개의 새끼를 낳으며 1일 평균 8-14마리 정도이다. 평균 수명은 17-27일 정도이다. 자연상태에서는 봄과 여름에 대번식하고 여름철에는 감소하는데 여름에 저온이 계속될 때와 가뭄이 계속될 때 이상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www.jadam.kr [ copyright by D. K. P ]
목화진딧물 다자란 약충

www.jadam.kr [ copyright by D. K. P ]
목화진딧물 어린약충

1년간 세대수는 노지에서 보통 28-33세대 발생하나 온실 내에서는 연중 발생에 유리한 환경이 제공되므로 그보다 많은 횟수로 발생하기도 한다. 온실 내에서는 겨울철에도 성충, 유충 및 알이 혼재된 상태로 존재한다. 노지에서 알로 월동하여 4월 중순부터 5월 하순까지 부화하여 성숙한 뒤에 2-3세대 경과한 5월 하순부터 6월 상순 사이에 유시충이 온실로 날아 들어 온다.

www.jadam.kr [ copyright by D. K. P ]
목화진딧물 신초 피해(귤나무)

www.jadam.kr [ copyright by D. K. P ]
목화진딧물 꽃피해(귤나무)

여름철에는 오이, 호박, 수박, 가지 등에 기생하고, 월동을 위해 늦가을에는 무궁화나무, 석류나무, 부용나무, 목화, 오크라 등에 알을 낳는다. 숙주식물의 즙액을 빨아먹으며 각종 바이러스를 옮긴다. 감로로 인해 그을음병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www.jadam.kr [ copyright by D. K. P ]
목화진딧물 천적기생봉 진디벌일종 †도입천적 콜레마니진디벌과 같은 모양의 mummy를 형성하고 있다(성충 우화 후 동정할 예정임)

기사입력시간 : 2016-03-23 00:14:02

박덕기 기자,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자닮,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박덕기#곤충
default_news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