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곤충 이야기] 온실가루이

default_news_ad1

공통해충

1990년대 중반~후반까지 국내 온실재배지에서 명성을 떨쳤던 외래해충입니다. 담배가루이가 유입된 이후 오히려 촬영,관찰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밀도가 현격히 낮아졌지만 언제든지 다시 문제를 일으킬 소지가 있는 종이기도 합니다. 10여년 온실가루이좀벌의 광범위한 방사의 한 효과라고 생각되기도 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자료는 없습니다. 본종은 1997년 스테비아, 라벤다, 일황련, 쥐오줌풀 등 수원지방에서 처음 발생보고 되었다가 1983년 10월경 재발생 하면서 국내정착이 이루어진 외래해충 입니다.

2016-03-31 [ copyright by D. K. P ]

실가루이 성충(좌: 수컷성충, 우: 암컷성충) † 담배가루이와 달리 날개를 접었을때 긴삼각형으로 비교적 크다

온실가루이

매미목 가루이과

О 학명 : Trialeurodes vaporariorum (Westwood)

О 영명 : greenhouse whitefly

О 크기 : 몸길이 1.4mm

О 기주 : 토마토, 가지, 오이 등 대부분의 작물 및 잡초

О 분포 : 전 세계적 분포

www.jadam.kr 2016-03-31 [ copyright by D. K. P ]
온실가루이 가번데기(현미경 사진) † 눈자위가 붉은색을 띤다
www.jadam.kr 2016-03-31 [ copyright by D. K. P ]
온실가루이 노숙약충(좌) 및 천적 온실가루이좀벌 머미(검정색 미이라)

성충의 몸길이는 1.4mm이며 수컷은 암컷보다 다소 작으며, 색은 옅은 황색이지만 몸 표면에 밀가루 모양의 흰 왁스 가루로 덮여 있어 흰색을 띤다. 알은 자루가 있는 포탄모양이고 길이가 0.2mm이며, 난자루가 잎의 조직 내에 삽입되어 엽면에 대해 수직으로 서 있다. 산란 직후는 흰색 또는 옅은 황색이나 부화 시에는 청흑색으로 변색된다. 유충은 흰색 또는 연황색이고 번데기 모양은 등면에 가시모양의 왁스돌기가 있는 타원형으로 크기는 0.7~0.8mm 정도이다. 등쪽의 머리, 가슴에 직립한 극상돌기가 있는 것이 유충과 다르다.

www.jadam.kr2016-03-31 [ copyright by D. K. P ]
온실가루이 알 † 알을 낳은 형상은 위에서 보았을때 원형 또는 반원형을 띠기도 한다.

알에서 성충까지 약 3~4주가 소요되며, 성충수명의 경우 암컷은 17.7~30일이고, 수컷은 13.9~24.5일이고, 암컷은 1일 평균 8개씩 산란하여 150~300개를 낳는다. 성충은 위쪽의 어린잎에 알을 낳으며, 작물이 생장함에 따라 위쪽으로 이동하여 잎 뒷면에 서식하고, 거의 고착성인 유충과 용은 중간 잎이나 아래 잎에 집중 분포한다.

www.jadam.kr [2016-03-31 [ copyright by D. K. P ]
온실가루이에 의한 오이 피해 † 엽당 1,500~3,000마리 이상 발생하여 흡즙피해를 준다.
www.jadam.kr 2016-03-31 [ copyright by D. K. P ]
온실가루이에 의한 오이 2차적인 피해(그을음병)
www.jadam.kr 2016-03-31 [ copyright by D. K. P ]
온실가루이에 의한 토마토 과피해(그을음병) † 상품성이 현저히 떨어져 세척을 요하므로 경제적인 피해가 별도로 발생한다.

남부 내륙지방에서 온실가루이의 연중 발생세대수는 노지에서 7세대를 경과하나 가온 시설이 있는 온실에서는 연 10회 이상 발생한다.

천적곤충은 온실가루이좀벌이 대표적이며 자연계에서는 포식성노린재, 각종거미, 기생봉 등 수많은 곤충들이 포식자로서의 역할을 한다. 아래는 야외에서 촬영된 포식성노린재류에 해당된다.

2016-03-31 [ copyright by D. K. P ]

온실가루이 포식성 노린재 † 성충의 몸체에 구기를 꼽아 체액을 흡즙하여 사멸시킨다.

기사입력시간 : 2016-03-31 22:04:29

박덕기 기자,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자닮,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박덕기#곤충
default_news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