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약용버섯 이야기(52): 유산된외대버섯

default_news_ad1

유산된외대버섯은 항종양 작용이 있어서 의학적 사용 외에도 산림보호 차원에서도 유용한 버섯이다.

 

www.jadam.kr 2014-07-17 [ 최종수 ]
유산된외대버섯 Entoloma abortivum(Burk. & M.A. Curtis) Donk 영어속명 Aborted Entoloma 유산된 것과 제대로 성장한 버섯을 볼 수 있다.

 

유산된(발육부전)외대버섯(한국미기록종?)은 본래 회갈색 갓에 약간 내림형 분홍색 주름살과 흰 대를 가진 식용버섯으로 미국 동부지역에서는 비교적 흔한 편이다. 한국 미기록종이어서 약용버섯 이야기에 다루지 않았으나 재미있는 버섯이라 한국에 소개할 겸 이곳에 다루기로 하였다. Entoloma라는 속명(屬名)은 갓 가장자리가 안으로 말려 있다는 뜻으로 이 버섯을 동정하는 열쇠가 되기도 한다. 외대버섯속 버섯은 대체로 독버섯이지만 이 유산된 버섯만은 예외로 식용할 수 있으나 조심해야 한다. 그래서 솜뭉치처럼 변형된 것만 채취하여 식용하면 안전하다고 볼 수 있다. 볶아 먹으면 견과류 맛이 나서 그 맛이 좋다고 하나 이 글을 쓰는 사람은 시식해 보았으나 그 맛은 기억나지 않는다.

 

 

www.jadam.kr 2014-07-17 [ 최종수 ]
유산된 것과 제대로 성장한 버섯의 주름살 모습

 

사진에 보면 제대로 자라 주름이 형성된 외대버섯과 발육부전의 유산된 솜뭉치처럼 생긴 외대버섯을 함께 볼 수 있다. 이 버섯 주변에 뽕나무버섯이 있으면 그 영향을 받아 외대버섯이 발육부전을 일으킨다고 한다. 뽕나무버섯이 돋는 철이 되면 산에서 종종 솜뭉치처럼 생긴 하얗고 둥글둥글한 덩어리를 만나게 된다. 처음에는 본래 그렇게 생긴 버섯인 줄 알고 일단 솜뭉치버섯이라고 임시로 이름을 붙여 불렀다. 나중에 그 비밀을 알게 되었는데 뽕나무버섯의 균사가 영향을 주어 유산된외대버섯의 모양이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고 발육부전으로 일그러져 솜뭉치처럼 된다는 것이다. 말하자면 뽕나무버섯의 영향으로 외대버섯이 유산된 것이다. 그래서 영어속명이 Aborted Entoloma(유산된 외대버섯)이다.

 

 

www.jadam.kr 2014-07-17 [ 최종수 ]
역시 유산된 외대버섯

 

그런데 재미있는 사실은 뽕나무버섯과 유산된외대버섯(Entoloma abortivum Aborted Entoloma) 사이의 관계에 대한 최근 학설이다. Tom Volk 외 다른 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유산된 것은 외대버섯이 아니라 그 반대로 뽕나무버섯이라는 것이다. 즉 기생균은 뽕나무버섯의 균사가 아니라 외대버섯의 균사라고 한다. 그래서 Tom Volk는 유산된 버섯의 이름을 유산된뽕나무버섯(Aborted Armillaria)이라고 불러야 한다는 것이다. 어쨌든 뽕나무버섯에 얽힌 비밀은 아직도 다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는데, 솜뭉치처럼 생긴 유산된 형태의 버섯이 눈에 띄면, 아하, 이 근처에 뽕나무버섯이 있구나 하고 알게 되고, 사실이 그러하여 어김없이 그 근처에서 뽕나무버섯을 발견하게 된다. 자연만물이 지닌 비밀을 어찌 인간의 두뇌로 다 알 수 있단 말인가! 그저 신비로울 뿐이다.

 

 

www.jadam.kr 2014-07-17 [ 최종수 ]
발육부전을 일으키지 않은 외대버섯 유균을 많이 볼 수 있다.

 

유산된외대버섯의 의학적 사용

 

이 버섯은 항종양 작용이 있어 Sarcoma 180과 Ehrlich 복수암에 대한 90% 억제율을 보여주고 있다. 1973년 Ohtsuka 등은 다른 외대버섯속 버섯들 가운데 독버섯인 방패외대버섯 Entoloma clypeatum(L.) P.Kumm.과 외대버섯 Entoloma sinuatum(Bull.) P. Kumm.이라는 버섯은 여러 가지 암종류에 대한 100% 억제율을 보여준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www.jadam.kr 2014-07-17 [ 최종수 ]
뽕나무버섯부치와 함께 발육부전을 일으킨 것들을 함께 볼 수 있다.

 

유산된외대버섯은 의학적 사용 외에도 산림보호 차원에서도 유용한 버섯이 될 가능성이 있다. 무슨 뜻이냐 하면 2001년 Czederpiltz등이 연구한 바에 따르면 이 외대버섯의 균사가 뽕나무버섯류에 영향을 주어 뽕나무버섯이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고 발육부전을 일으키게 함으로써 산림에 폐해를 주는 뽕나무버섯을 통제하는 버섯(a potential myco-control)으로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

 

참고문헌:

 

Robert Rogers, The Fungal Pharmacy: The Complete Guide to Medicinal Mushrooms and Lichens of North America, Berkeley, Calif.: North Atlantic press, 2011, pp. 139-140.

 

박완희, 이호득, 한국 약용버섯 도감, 서울: 교학사, 2003(재판), 684쪽

 

William C Roody, Mushrooms of West Virginia and the Central Appalachians, 2003, pp. 133-134.

 

기사입력시간 : 2014-07-17 21:01:51

최종수(야생버섯애호가),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자닮,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최종수#버섯
default_news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