찻잎은 진액을 생성시키고 갈증을 멎게 하며, 심(心)의 열기를 식혀주고 눈을 밝게 해주며, 비(脾)를 튼튼하게 해주고 위(胃)를 열어주는 효능이 있어, 여러 가지 양의 병을 치료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효과도 좋다. 1. 감기[感冒] : 찻잎 15g, 흑설탕[紅糖] 60g, 생강 30g, 후추(胡椒) 4g. 달인 물을 먹인다. 2. 설사[腹瀉] : 마늘 30g, 찻잎 60g. 마늘은 찧어 부수고 찻잎 물에 섞어 마시게 하면 비교적 좋은 치료 효과가 있다. 찻잎 100g과 생강 500g을 찧고 물 2,000㎖를 부어 500㎖이 될 때까지 끓인 다음, 찌꺼기를 걸러내고 흑설탕 200g을 첨가한다. 온도가 내려가길 기다렸다가 병든 양에게 한 차례 강제로 먹인다. 하루 2회씩 1~2일간 계속 사용하면 병이 나을 수 있다. 3. 소화불량[瘤胃脹氣] : 찻잎을 갈아 곱게 가루를 만들고 쥐엄나무 열매[?角]가루와 함께 골고루 섞은 다음에, 혼합물을 항문을 통해 양의 직장(直腸) 안에 채워 넣는다. 이 방법은 병든 양의 배변을 촉진시키므로 양의 소화불량이 점차 사라지게 된다. 4. 유기인 중독 : 찻잎 120g, 녹두 250g. 달인 물을 마시게 한다. 5. 외상궤양(外傷潰瘍) : 찻잎에 적당량의 쑥잎, 박하, 마늘줄기를 섞어 달인 즙으로 양의 상처를 씻어준다. 이 방법은 담(痰)을 삭히고 독을 빼내는 작용이 있어 양의 신체 외상에 의한 궤양부위를 빨리 아물게 할 수 있다. 6. 복창(腹脹 배가 더부룩하게 불러오는 증상) : 찻잎과 무씨 각각 200g. 진하게 달인 즙을 전부 강제로 먹인다. 7. 변비(便秘) : 찻잎과 비누를 함께 찧어 양의 항문에 채워 넣으면 장이 촉촉해져서 통변할 수 있다. 8. 해산 전의 유방부종(乳房浮腫) : 찻잎 10~20g에 복령피(茯皮), 강피(薑皮), 오가피(五加皮), 지골피(地骨皮), 대복피(大腹皮) 각각 3g첨가하여 달인 즙을 암양에게 복용시킨다. 1~2회 계속 사용하면 암양의 유방부종이 제거될 수 있다. 9. 피곤증 : 찻잎 적당량에 피마자 20g과 금은화(金銀花) 10g을 섞어 달인 즙을 양에게 복용시킨다. 보통 2~3회이면 털이 엉클어지거나 정신이 맑고 똑똑하지 않은 피곤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10. 거식증[厭食 음식 먹기를 싫어하는 증상] : 찻잎 150~200g을 양에게 자유롭게 먹게 하면, 차의 맛과 향이 입에 잘 맞아 양이 먹기 좋아한다. 5~6시간 경과할 때 찻잎의 소화작용으로 인해 양이 되새김질하며 먹을 것을 찾게 된다. 원문정보: http://www.cast.net.cn/scientech/AppliedTechText.asp?Mdid=29655&IsEdit=no&
기사입력시간 : 2013-03-13 19:01:21
제공:농촌진흥청, 다른기사보기<저작권자 © 자닮,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농촌진흥청